미국-중국 관세전쟁 격화: 145%와 125%의 충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9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0%에서 추가로 125% 인상하며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응해 중국은 4월 11일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상향 조정하며 맞불을 놨다. 이러한 조치는 양국 간 무역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며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라고 설명하며, 중국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반면, 중국은 이를 “세계 경제 역사상 유례없는 농담”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추가 관세 인상에는 더 이상 응하지 않겠지만 필요시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번 관세 인상은 단순히 양국 간의 경제적 갈등을 넘어 지정학적 긴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두 경제 대국 간의 “탈동조화(decoupling)”를 가속화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동아시아 지역 내 전략적 재배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양국 간 관세전쟁은 이미 약 6,500억 달러 규모의 양자 무역을 타격하고 있으며, 전자제품, 의약품, 농산물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수입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소비자와 기업들은 높은 수입 비용으로 인해 물가 상승 압박을 받고 있으며, 중국 역시 제조업체들의 수익 감소와 실업률 상승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글로벌 시장도 혼란을 겪고 있다. 관세 인상 발표 이후 S&P 500과 다우존스 지수는 급락했으며, 국제 통화 시장에서는 달러 가치가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번 사태로 인해 글로벌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으며, 세계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위험에 직면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양국 모두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오히려 소비자 부담 증가와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자국 내 시장 다변화와 대체 수출 시장 개척을 통해 장기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번 관세전쟁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글로벌 경제 질서와 지정학적 균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각국은 이 상황에서 자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