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전쟁 장기화 가능성 속 한국 제조업 협력 카드 활용 전망

미중 관세전쟁 장기화 조짐…한국, 제조업 협력 카드로 돌파구 모색

미국과 중국이 고율 관세를 상호 부과하며 무역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와 업계가 제조업 분야에서 ‘협력 카드’를 활용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전쟁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은 자국의 첨단 제조 역량과 공급망 안정성을 무기로 외교·경제적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을 구상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한국이 강점을 지닌 제조업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겠다”며, “특히 미국과 유럽 기업들의 ‘차이나 리스크’를 한국이 대신 흡수할 수 있도록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삼성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대기업은 미국 현지 공장 증설을 발표했으며, 이는 미중 분쟁으로 인해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글로벌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정부 또한 고부가가치 제조업 중심의 ‘글로벌 생산 허브’ 전략을 수립 중이며, 이를 통해 한국 기업들이 미중 갈등의 피해자가 아니라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제조 경쟁력과 정치적 중립성은 국제사회에서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강점”이라며 “지금이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More From Author

한국 정부, 미중 관세전쟁에 중재 외교 나서

북한군 MDL 침범 후 경고 사격으로 북상, 군 긴장 고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